After Effect 기본 요소의 이해

3 분 소요

After Effect의 주요 기본 요소

컴포지션

작업한 레이어와 소스로 구성된 그룹.
AE에서는 그룹을 먼저 만들고 컴포지션 공간 내부에 소스와 레이어를 쌓아가며 작업한다.

  • 컴포지션 생성 단축키 : Ctrl + N

컴포지션 생성 팝업 설정

  • Preset : HDTV 1080 29.97 프리셋 (1920 * 1080 Full HD)
  • Pixel Aspect Ratio : Square Pixels
  • Frame Rate : 29.97 (주로 30프레임 아래로 사용한다)
  • Duration : 영상의 길이 지정

Duration Format 1) {시} ; {분} ; {초} ; {프레임} 2) . 사용 ex) 10. : 10초, 10.. : 10분

Layer

Transform (하위 옵션)

  • Anchor Point : 중심축을 기준으로 도형을 이동시키는 기능. 툴바의 중심축 기능과 다르다.
  • Position : 위치
  • Scale : 배율
  • Rotation : 회전
  • Opacity : 투명도
  • Transform 하위 메뉴 단축키 : 각각 단어의 첫 알파벳. Opacity만 T 사용. 하위 옵션 중 해당 옵션만 보인다.
  • Transform 하위 메뉴 추가 단축키 : 여러 옵션을 함께 보이게 하고 싶으면 Shift + 단축키를 눌러 보이는 옵션을 추가한다.

유용한 단축 기능

  • 레이어 락 단축키 : Ctrl + L
  • 레이어 선택 해제 단축키 : F2
  • 레이어 복제 : Ctrl + D
  • 툴바 Anchor Point 중심축 수정 모드 단축키 : Y
  • 툴바 Anchor Point 중심축 수정 모드 모서리 스냅 단축키 : Ctrl + Y
  • 툴바 Anchor Point 중심축 리셋 : 툴바 중심축 아이콘 더블클릭
  • 툴바 Anchor Point 중심축 리셋 단축키 : Ctrl + Alt + Home
  • 하위 옵션 전부 닫기 / 키가 적용된 옵션만 열때 : U

Solid Layer

단색 오브젝트.
‘Make Comp Size’ 버튼을 클릭하여 컴포지션 크기로 맞출 수 있다.

  • Solid 레이어 생성 단축키: Ctrl + Y
  • Solid 레이어 수정 단축키 : Ctrl + Shift + Y

Shape Layer

도형 오브젝트.
상단 툴바에서 도형모양을 선택해서 사용가능하다.
단축키를 누를 때 마다 툴바에서 선택된 도형 모형이 변경된다.
어떤 레이어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 그려야 새로운 레이어로 추가된다.
기존 레이어를 선택하면 해당 레이어에 추가된다.

  • Shape 레이어 생성 모드 및 Shape 전환 단축키 : Q
  • 컴포지션 크기의 Shpae 바로 추가 : 툴바 도형 아이콘 더블클릭

Text Layer

텍스트 오브젝트.
텍스트의 모양 자체를 변경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려면 Text 레이어를 Shape 레이어로 변경해야한다.

  • Text Layer > Shape Layer 변경 : 우클릭 후 - Create - Create Shapes from Text

Key

Key의 이해

키 부여 대상인 레이어의 하위 옵션 값이 변하면 무조건 키가 찍힌다.
오브젝트 이동 시 경로에 작은 점이 찍혀 있는데 한 점당 한 프레임의 오브젝트 위치를 뜻한다.
키를 우클릭해서 키 프레임 어시스턴트에서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.
Ease In 또는 Out 이 적용되면 키 모양이 화살표 모양으로 변경된다.
Ease이 적용되면 Ease In/Out이 한번에 적용되는 건데 키 모양이 모래시계 모양으로 변경된다.

Graph Editor

  • 그래프 에디터 창 열기 : Shift + F3

작업창의 아이콘에서 그래프 모양의 아이콘이 그래프 에디터 이다.
키가 모두 선택된 상태에서 그래프 에디터로 들어가면 스피드 그리드를 확인할 수 있다.
곡선을 수정하여 Ease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.

유용한 단축 기능

  • 키 부여 / 키 제거 : 하위 옵션 앞쪽 스탑워치 아이콘 클릭
  • 마름모의 좌측 키 전환 : J
  • 마름모의 우측 키 전환 : K
  • Easy Ease : F9
  • Easy Ease In : Shift + F9
  • Easy Ease Out : Shift + Shift + F9

Work Area

  • 작업 구간을 설정한다.
  • Preview 할 때 Work Area만 구간 확인 할 수 있음.
  • 랜더링 할 때 Work Area만 랜더링함.
  • Work Area 시작점 지정 : B
  • Work Area 종료지점 지정 : N
  • Work Area 구간 Preview : 넘버패드 0

랜더링

랜더링 큐에 작업물을 추가 후 미디어 인코더로 랜더링 한다.
랜더링 할 때 기본으로는 어도비 미디어 인코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바로 어도비 미디어 인코더 큐에 추가해도 동일하다.

  • 랜더링 큐 추가 : Ctrl + M

랜더링 옵션

큐에 랜더링할 영상을 클릭하면 인코딩 옵션 팝업이 뜨는데 여기서도 Work Area 설정이 가능하다.

  • 형식 : H.264
  • 사전 설정 : 소스일치 - 높은 비트 전송률
  • 출력 이름 : 저장 위치, 영상 이름 설정

큐잉된 영상들의 옵션을 각각 선택 후 인코더 큐의 우측 상단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랜더링이 된다.

주요 단축키

  • 화면 확대 : Ctrl + + / ,
  • 화면 확대 : Ctrl + - / .
  • 원하는 부분 확대 : Alt + 마우스 휠
  • 화면 이동 : Space
  • 화면 작업창 크기 맞춤 : Shift + /
  • 기본 선택툴 전환 : V
  • 그리드 ON/OFF : Alt + '
  • 가이드 룰러 ON/OFF : Ctrl + R
  • 인디케이터 한 프레임씩 이동 : Ctrl + 화살표
  • 인디케이터 10 프레임씩 이동 : Ctrl + Shift + 화살표

꿀팁

  • Shy 기능을 사용하여 ON/OFF를 통해 원본 레이어를 작업 리스트에서 숨겨둘 수 있다.
  • 작업 리스트에서 Tag 모양의 아이콘의 색상을 바꿔 Path의 표현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.
  • 저장 시에 다른 소스를 사용할 경우는 링크를 유지해야한다. Collect Files 기능을 사용해 저장하면 링크가 깨지지 않는다.
  • 룰러 기능을 켜고 가이드를 그릴 수 있는데 가이드 생성 후 락을 걸고 그걸 기반으로 정렬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.
  • Work Area에 우클릭하고 Trim Comp to Work Area 옵션을 선택하면 뒤쪽 남는 영상을 자를 수 있다.
  • 탭을 누르면 작업 컴포지션의 부모 자식 정보가 표기되고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.
  • 레이어 선택 후 Keyframe Assistant - Sequence Layers를 적용하면 선택한 레이어들을 연속적으로 배치해준다.

댓글남기기